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21

'사회복지조사론' 핵심요약정리 / 측정과 척도 9장. 측정과 척도 1. 개념 측정이란 조사하려는 대상의 상태와 특징, 행위 등의 이론 개념을 일정 규칙으로 계량화하는 것을 말한다. 숫자 기호를 붙여줌으로 일반적이지 않은 것을 경험, 관찰할 수 있도록 변경해준다. 척도란 측정을 위한 장치, 도구 등의 방법이며 사람들의 변수를 측정(사람들의 태도 등)할 때 사용된다. 척도에서는 '단일차원성'이 중요시된다. 척도에서 구성된 항목이 단일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애정결핍을 측정하기 위해 스무개의 문항을 내놓았다면 그 스무개가 전부 애정결핍 하나만을 반영해야 하며 또 다른 개념이 들어가서는 안 된다. 2. 측정수준 비율, 등간, 서열, 명목 순으로 측정 수준이 높은 순서이다. 설문 문항의 수가 높을수록 측정 도구의 신뢰도는 높아지는 경향이 .. 2023. 5. 2.
'사회복지조사론' 핵심요약정리 / 단일사례설계, 표집 7장. 단일사례설계 1. 특성 하나의 사례(개인, 가족, 집단, 조직 등)나 대상으로 반복적 측정을 하여 개입된 영향을 평가한다. 가설을 검증하고 이론을 규명하는 것이 아닌 개입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집단일 경우엔 집단구성원의 개별적인 정부를 전체 빈도나 평균으로 묶어 단일로 취급한다. 개별 사례인 경우 사회복지사가 문제에 대해 직접 개입하여 문제점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볼 수 있고 즉시 피드백 반영이 가능하다. 문제가 되고 대상자의 표적 행동을 직, 간접 관찰도 가능하고 복수의 개입 방법을 사용하며 복수의 대상자에 적용이 가능하다. 외적 타당도에 문제가 있으나 반복적인 재현을 통해서 보완이 가능하다. 기본 구성은 기초선단계(개입 전) (A)와 개입단계(B)이다. 2. 설계 유형 AB 설계는 가장 .. 2023. 4. 27.
'사회복지조사론' 핵심요약정리 / 조사설계의 유형 6장. 조사설계의 유형 1. 순수실험설계 (=실험) 실험의 요건은 조사 실험자들을 동질적인 무작위로 두 집단(실험,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외생수를 통제하고 종속변수를 비교하며 독립변수를 조작하는 것이다. 이처럼 실험에서 내적 타당도를 높이는 가장 기본은 조사대상자를 무작위 할당을 하여 두 집단으로 나누는 방식이다. 무작위 할당으로 대상자 선정의 편견의 요소를 막을 수 있어 내적 타당도가 높아진다. 유사 실험과의 차이점은 바로 무작위 할당의 여부이다. 유사 실험에서는 무작위 할당법을 사용하지 않는다. 내적 타당도가 높은 조사설계의 순서는 순수실험설계, 유사(의사, 준)실험설계 그리고 원시(전, 선)실험설계, 비실험설계이다. 1) 통제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 가장 기본적인 설계이다. 무작위로 두 집단을 만들고 .. 2023. 4. 27.
'사회복지조사론' 핵심요약정리 / 인과관계와 조사설계의 내적타당도, 외적타당도 5장. 인과관계와 조사설계의 타당도 1. 인과관계의 성립요건 인과관계란 내적 타당도가 있기 전, 원인과 결과의 관계를 뜻하는 사전적 의미이다. 인과관계의 성립요건으로 공변성, 시간적 우선성, 통제성이 있다. 공변성은 두 변수가 일정한 방식으로 같이 변화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며 시간적 우선성은 독립변수(원인)가 먼저 변화하고 종속변수(결과)는 그 후에 변화해야 하는 것이다. 통제성은 외생변수(혹시 다른 변수는 아닌가)를 통제해도 두 변수의 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즉, 허위적 관계가 아니어야 한다. 2. 내적 타당도 1) 개념 원인-결과, 이 둘 사이의 인과관계가 얼마나 정확한 것인지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 B가 원인 A에 의해 일어난 것인지 아니면 또 다른 원인에 일어난 것인지 판단한다. 즉 독.. 2023. 4. 17.
반응형